제조업, 건설업, 지하철, 의료기관 산업보건관리 관련 토론 진행돼
산업안전 분야 뿐 아니라 산업 보건 분야에서도 위험성평가를 기반으로 사업장 스스로 위해요인을 발굴, 제거함으로써 자율안전보건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는 재단법인 피플과 공동으로 22일 안전보건공단 서울남부지사에서 ‘위험성평가 기반 산업보건 혁신방안’에 대한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은 사업장의 자율안전보건체계 구축 방안에 대해 논의키 위해 진행됐으며 정부의 산업보건관리 혁신방안과 위험성평가 중심의 산업보건관리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이 오갔다.
먼저 홍성지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 사무관은 ‘산업보건혁신 추진방안’에 대한 주제로, 백은미 가톨릭대 교수는 ‘변경된 위험성평가의 보건분야 적용방안’에 대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어진 토론시간에는 ▲제조업의 산업보건관리 ▲건설업의 산업보건관리 ▲지하철의 산업보건관리 ▲의료기관의 산업보건관리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김태옥 미래일터안전보건포럼 공동대표는 개회사에서 “최근의 시대적 상황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증가하고 있는 직업병 관리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키 위해서는 사업장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을 발굴하고 개선대책을 수립하는 위험성평가 중심의 자기규율 예방체계가 산업보건관리에도 적용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혜선 한국보건안전단체총연합회 회장은 “위험성평가는 안전뿐만 아니라 보건분야에서도 중요한 전략이 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보건분야 위험성평가를 개발·보급해 정부가 추진하는 중대재해 감축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도록 보건관리자 역할의 중요함이 널리 알려지기를 바란다”고 했다.
출처 : 안전신문(https://www.safetynews.co.kr)